AI 기반의 OCR 모듈 탑재! 개인정보 보안 및 문서 자동화 솔루션

홈페이지 게시판에 개인정보가 업로드/다운로드 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차단합니다.

이미지속개인정보 4

개인정보보호, 이미지 속 개인정보탐지와 아웃바운드차단이 필수

엘세븐시큐리티는 최근 유출 되고 있는 개인정보들을 분석하여 보면 이미지 속 개인정보가 유출 되고 있는 사례와 구글을 통하여 오래전에 저장된 웹 시스템에서 개인정보가 유출 되고 있는 사례가 많다고 분석을 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도 개인정보의 안전조치 위반 사례로 과태료를 꾸준히 부과하고 있지만 쉽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개인정보의 유출 사례를 보면 예전에는 엑셀문서나 한글문서내의 텍스트에 대한 개인정보유출이 많았지만 이제는 비대면 업무가 많아지면서 기관에서 받았던 고객의 개인정보 중 첨부서류로 받았던 주민등록증이나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등과 같이 이미지 파일로 된 민원서류가 유출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런 이미지 파일속의 개인정보를 차단하려면 이미지에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는 OCR(Optica..

[테크칼럼] 개인정보 스캔을 통해 바라본 개인정보유출 사례 분석

이미지 내 개인정보 탐지 솔루션 도입시 고려사항 3가지 [보안뉴스= 최복희 엘세븐시큐리티 대표] 엘세븐시큐리티는 그동안 개인정보보호 사업을 하면서 개인정보의 유출 사례를 많이 분석해 본 결과 담당자의 실수도 있었지만 예산 부족으로 인한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 못해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상황도 적지 않았다. ▲서버스캔 및 마스킹 솔루션 구성도[자료=엘세븐시큐리티] 예전에는 문서 내에 텍스트에 대해서만 개인정보를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제품들 밖에 없었다면, 이제는 기술 발달로 이미지 속의 개인정보까지도 탐지할 수 있는 OCR 모듈을 탑재한 개인정보보호 솔루션들이 많이 개발됐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이미지를 탐지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의 성능은 천차만별이기에 실전에서 테스트를 하고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

아직도!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가 강화 되어야 한다.

문서내의 텍스트는 물론이고 이미지 속 개인정보 유출도 심각하다.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하다. 2006년부터 행안부에서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2011년에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탄생하였지만 아직도 관리자의 실수나 담당자의 실수로 인하여 개인정보유출은 계속 되고 있다. 최근 여러 기사에서 나왔듯이 시민들이 실수뿐만 아니라 사이트 담당자의 실수로 인해서도 개인정보 유출은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전국의 공공기관, 교육청, 일반 기업체의 웹 사이트에 대하여 개인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인정보 노출 차단에 신경을 쓰고 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서는 개인정보 수준진단 평가를 통하여 전국의 공공기관에 대하..

[2021 보안리포트] 언택트 시대 블루오션, 이미지내 개인정보 탐지·차단 솔루션

개인정보보호의 또 다른 복병 ‘이미지 속 개인정보’를 잡아라 이미지내 개인정보 탐지·차단 솔루션에 대한 보안담당자 인식조사 결과 분석 이미지내 개인정보 탐지·차단 분야 대표기업, 엘세븐시큐리티 집중해부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디지털화가 7년 이상 앞당겨졌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들이 빠른 발전과 확산을 이뤄냈다. 예를 들면, 재택근무나 금융권의 비대면 계좌개설 등 금융업무, 공유자동차나 전동킥보드 등의 공유경제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비대면 디지털 기술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신분증이다. 이 서비스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과 함께 본인확인이 필수인데, 대부분 신분증을 스캔하거나 사진을 찍어 이미지..